JSP 52

[jsp] == forEach 배열 출력 ==

forEach : 반복문 - items : 대상배열, collection - var : 요소를 저장할 변수 = 임시변수 느낌 - varStatus : 변수.count(개수), 변수.index(주소) = var에 대한 값을 나열 count는 1부터 시작 / index는 0부터 시작 count : ${order.count } index : ${order.index } ${fname } 사용예시 - 배열을 만들어서 출력하는 방법 count : ${order.count } index : ${order.index } ${fname } - form의 checkbox를 받아서 출력하는 방법 step6-form.jsp, step6-action.jsp 생성 - form태그안에 checkbox 생성 - 주문자 : 이름 -..

JSP/JSP 2023.05.10

[jsp] == choose문 (choose, when, otherwise) 다중 조건 사용 ==

choose문 (choose, when, otherwise) 다중 조건 choose를 열고, when test="조건" 그 외 나머지는 otherwise 항상 값이 큰 것부터 순차적으로 작성하기 사용 예시 문 1 ) age가 20이상이면 성인입니다 / 10이상이면 청소년입니다 / 아니면 아동입니다 출력 == model package에서 : PersonVO.class == 멤버변수 : name, age / 생성자 / getter,setter 생성 == step4-choose.jsp == - age가 20이상이면 성인입니다 / 10이상이면 청소년입니다 / 아니면 아동입니다 출력 - 순서는 단계적으로 적어주기! 문 2 ) 20살 이상이면 성인, 15살 이상이면 청소년, 5살 이상이면 어린이, 1살이상이면 유아..

JSP/JSP 2023.05.09

[jsp] (기초) param 파라미터 전달받아 출력

== 쿼리스트링으로 전달하는 방법 == step 2-1 : 쿼리스트링으로 값을 담아서 이동 step 2-2 : 전달받은 파라미터를 출력 == form 태그로 전달하는 방법 1. type="text" == step 2-2 : form태그로 값을 담아 step 2-3으로 전달 step 2-3 : 전달받은 값 출력 == form 태그로 전달하는 방법 2. type="checkbox" == step 2-3: form태그로 값을 담아 step 2-4으로 전달 step 2-4 : 전달받은 값 출력 EL 방식은 null값은 출력되지 않는 것을 확인 가능!!

JSP/JSP 2023.05.09

[jsp] (기초) car 출력 연습

== java 파일 == == jsp 파일 : java에서 모델을 가져와 만들어 출력 == - request.setAttribute( , ) / session.setAttribute( , ) 선택 방법 request : 현재 페이지에서만 사용이 가능 session : 모든 페이지에서 사용이 가능 (잘 사용x = 용량을 많이 사용해서) 1. 변수 출력 1. CarVO의 객체에서 변수 출력 ${requestScope.cvo.name } ${cvo.name }, ${cvo.num }, ${cvo.price } 2. list 출력 2. CarVO의 객체에서 list 출력 ${sessionScope.carList[0].name } ${carList[0].name }, ${carList[0].num }, ${car..

JSP/JSP 2023.05.09